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신약의 인물-헤로디아와 딸

 마태복음 14장과 마가복음 6장에는 세례요한의 순교에 관한 내용이 나옵니다. 세례요한은 자신의 동생 빌립의 처를 아내로 맞이한 헤롯의 죄를 강력하게 책망했습니다. 여기에서 죄를 지적하고 책망한 세례요한을 헤롯이 미워한 것처럼 생각되지만, 헤롯의 아내가 된 ‘헤로디아’가 더 미워했습니다. 그녀는 권력에 대한 야욕으로 가득 찬 여인이었습니다. 그래서 자신이 남편의 형의 아내가 되는 것에 대해서 일말의 죄책감도 가지지 못했습니다. 그러기에 그런 행동을 책망하는 세례요한을 달갑지 않게 여긴 것입니다. 한편 헤롯 또한 세례요한을 제거하고 싶지만 유대인들이 세례요한을 선지자로 여기기에 그를 죽일 경우에 큰 소요가 일어날 것에 대한 걱정 때문에 그저 감옥에 가두는 정도였습니다. 어느 날 헤롯의 생일에 헤로디아는 딸을 이용해서 세례요한을 제거할 명분을 얻습니다. 그녀는 딸을 헤롯 앞에 춤을 추게 합니다. 그리고 그 춤을 기쁘게 여긴 헤롯으로부터 세례요한의 목을 약속 받습니다. “마침 헤롯의 생일이 되어 헤로디아의 딸이 연석 가운데서 춤을 추어 헤롯을 기쁘게 하니 헤롯이 맹세로 그에게 무엇이든지 달라는 대로 주겠다고 약속하거늘” -마태복음 14장6절,7절. 의붓아버지 앞에서 춤을 추는 딸의 모습입니다. 그리고 이것을 본 헤롯은 기뻐합니다. 여기에 ‘기쁘다’에 해당하는 단어를 보면, ‘아레스코(ἀρέσκω)’라는 단어로 ‘기쁘게 하려고 애를 쓰다’의 의미입니다. 의붓아버지 앞에서 관능적인 춤을 추는 딸과 그런 춤을 보고 여느 남자들이 가지는 마음으로 그 춤을 바라보는 헤롯의 모습입니다. 헤롯은 이로 인해서 세례요한의 목을 줄 것을 약속하고 그것을 이행합니다.       우리는 여기에서 헤로디아와 그녀의 딸에 대해서 생각해 보았으면 좋겠습니다. 당시 문화가 그렇다고 해도 자신의 딸을 헤롯 앞에서 남자를 유혹하는 관능적인 춤을 추게 하는 어머니의 모습입니다. 헤로디아에게 우선순위는 무엇이었을까요? 자신이 비록 분봉왕이지만 헤롯의 아내가 됨으로 왕과 같은 위치에 있는 남자의 아내가 됨으로 그녀에게 오는 권력이 그녀의 삶에 중심이었습니다. 그리고 그 자리에 대한 불합리함과 잘못됨을 책망하는 세례요한은 대단한 걸림돌이 된 것입니다. 그래서 자신의 자리를 지키기 위해서 한 사람, 그것도 선지자로 여기는 사람을 정당한 죄목이 없음에도 죽이고자 하는 생각을 하게 된 것입니다.우리에게 목적이 무엇인가가 삶에 중요합니다. 분명 그 목적은 내가 갈망하고, 삶에서 중요하게 여기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그 목적이 개인의 욕심과 야망이고, 이기적인 것이 되어서 분명 옳지 못한 것이라면, 문제가 심각해집니다. 그 목적을 이루기 위해서 다른 것이 보이지 않기 때문입니다. 자신의 자리를 지키기 위한 목적에 사로잡힌 종교지도자들이 예수님이 어떤 분이신지, 그가 전하는 복음이 어떤 내용인지를 들으려고 하지 않고 오직 죽이고자 하는 마음에 사로잡혀서 끝내 죽이려고 한 것과 같습니다. 권력의 자리가 목적이 된 헤로디아는 세례요한을 죽여야 한다는 생각에 사로잡혔습니다. 그리고 그녀는 자기 딸마저 마치 음탕한 여자들이 남자를 유혹하는 몸짓을 의붓아버지 앞에서 하도록 하게 되는 것입니다. 우리가 흔히 중독이라는 말을 합니다. ‘게임 중독’, ‘성 중독’, ‘약물 중독’, ‘알코올 중독’ 등과 같이 사회적인 문제로 거론되는 것들이 있습니다. 반면에 우리가 일상생활에서도 농담처럼 말하는 것이 있습니다. ‘나는 드라마에 중독되었다’, ‘나는 쇼핑 중독이다’. 그런데, 중독은 곧 마비입니다. 중독되게 하는 요인으로 인해서 일상적인 생활이 되지 않는 것을 의미합니다. 정상적인 생각을 할 수 없고, 이성적인 판단을 하지 못하게 됩니다. 그래서 중독 시키는 요인의 지배를 강력하게 받는 것입니다.       여기에서 중요한 것은 그로 인해서 내가 생각하는 것이 이성적이지도, 정상적이지 못할 수 있다는 겁니다. 내가 무언가에 사로잡혀 있다면 내가 하는 생각과 판단이 잘못될 수 있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그 ‘잘못된 생각’은 단순하게 조금 잘못된 것이 아니라 대단히 잘못된 것이 되어 버리게 된다는 겁니다. 내가 하는 목적을 위해서 다른 사람을 짓밟고, 심지어는 죽이기까지 하게 되어 버립니다. 혹시 지금 내가 목표로 삼고, 목적을 두고 있는 것이 어떤 것인지를 살펴보아야 합니다. 그리고 그것을 위해서 나는 어떤 생각을 하고 있는지 점검해야 합니다. 에베소서 5장18절 말씀을 보면, “술 취하지 말라 이는 방탕한 것이니 오직 성령으로 충만함을 받으라”고 말씀합니다. 여기에 ‘술 취하다’는 ‘메뒤스코(μεθύσκω)’라는 단어입니다. ‘술 취함’은 방탕하게 만듭니다. 주인이 올 때를 대비하지 않고 술에 취해서 방탕한 종과 같은 상태처럼 제대로 된 판단을 하지 못하게 되는 상태입니다. 반면에 ‘성령 충만’은 ‘플레로(πληρόω)’라는 단어로 ‘가득하게 하다, 충만하게 하다’의 의미와 ‘완성하다’의 의미를 가진 단어입니다. 성령 충만은 우리를 완성하게 합니다. 마비가 되어서 이성적인 판단을 하지 못하는 것이 아니라, 우리로 하여금 의로운 판단을 하게 하고, 바른길을 걸어갈 수 있게 합니다. 무엇에 ‘취한 삶’인지, 무엇으로 ‘가득 채워져’ 완성된 삶을 살 것인지를 고민합시다. 나를 바른길을 걷게 하며, 의로운 결정을 하게 하시는 성령의 충만함으로 이 땅의 삶을 살아가는 우리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목회칼럼 / 더비전교회 윤우식 목사신약 인물 알코올 중독 약물 중독 게임 중독

2024-02-09

[기고] 외롭고 아픈 미국인들

미국인 58%가 외로움을 느낀다고 한다. 만성 통증으로 고통받는 사람은 5000만 명에 이른다. 병적인 총기 수집가도 많다.     지난 5월 초 비벡 머시 미국 의무감(Surgeon General)이 발간한 82쪽의 대중 건강 보고서가 주목을 받고 있다. 보고서는 고독과 고립이 개인 및 공공의 건강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과 실행 가능한 해결 방법을 담고 있다.       요즘 공공장소에 갔다가 혹은 작은 실수 때문에 목숨을 잃는 사람들이 많다.  분노나 증오, 편집증 등으로 인해 총을 드는 사람들이 있기 때문이다. 캔사스시티의  84세 집주인은 주소를 잘못 보고 초인종을 누른 16세 소년에게 총격을 가했다. 소년은 피를 흘리며 세 번째 집의 문을 두드린 후에야 도움을 받을 수 있었다. 텍사스주에서는 아기가 잠들 수 있도록 집 마당에서의 사격 연습을 자제해 달라고 부탁하러 온 이웃을 뒤따라가 일가족 5명을 살해한 일도 벌어졌다.     약물이나 알코올로 외로움과 만성 통증을 견디는 사람 또한 많다. 만성 통증은 백인 중년이 가장 많다고 한다. 저소득층이 고소득층보다 3배 더, 그리고 학력이 낮을수록 만성 통증에 시달리는 경우가 많다. 미국서 매년 10만 이상이 약물 중독으로, 14만 명이 알코올 중독으로 사망한다.     소셜네트워크의 발달은 외로움을 더욱 깊게 하고 쉽게 중독에 빠져들게 한다.  65세 이상의 시니어보다 18~24세의 젊은층이 외로움을 토로하는 비율이 2배나 높은 것으로 나타나기도 했다.     ‘외로움’은 실제와 희망하는 사회적 연결의 격차에서 비롯된 주관적인 내부 감정이라고 한다. 대부분 외로움을 경험하지만 형체가 없어 더욱 치료가 어렵다. 요즘 30대 이상의 많은 여성은 친구와 수다 떨기로 외로움을 이긴다고 한다. 이에 착안해 ‘미라클 메시지’라는 비영리단체는 자원봉사자들의 전화통화로 외로움을 덜어준다.   외로움은 만병의 근원이자 만성 통증의 주범이다. 머시 의무감은 “외로움은 불안과 우울증을 낳으며 치매는 50%, 뇌졸중은 32%, 심장병은 29%의 발병 확률을 높인다”며  “외로움은 하루 담배 15개비를 피우는 것과 비슷할 정도로 건강에 해롭다”고 조언한다.     ‘만성 통증’은 세계적인 문제이지만 미국의 경우는 특이하다고 한다. 다른 선진국에서는 주로 시니어들이 만성 통증을 호소하는 데 반해 미국에서는 중년층이 많다는 것이다. 미래의 노인들이 현재의 노인들보다 더 아프다가 숨진다는 의미다. 신체 부상보다 어린 시절의 악몽, 외로움, 직업 스트레스, 가정 문제 등 무너진 삶이 만성 통증의 주요 원인이라는 것이다.   만성 통증은 약물 사용이나 음주로 이어지고 심하면 극단적인 선택까지 하게 한다. 노벨 경제학상 수상자인 앤거스 디톤은 자살, 마약, 알코올 중독으로 인한 사망을 ‘절망적 사망(death of despair)’으로 분류했다. 그에 따르면 미국 내 ‘절망적 사망자’는 매년 25만 명에 이르고 인종별로는 백인 중년 남성이 가장 많다고 한다.     하버드대학 연구팀은 80년간 계속된 연구를 통해 ‘친밀한 인간관계가 정신 건강을 지키는 핵심’이라고 발표했다.  머시 의무감 역시 “활발한 인간관계가 외로움의 치료제”라고 설명한다.     그는 일상 생활에서의 해결 방안으로 관계 중심의 소셜 인프라 구축, 지인으로부터 연락이 오면 답하기, 봉사활동으로 다른 이에게 도움 주기 등을 제시했다.      암울한 뉴스들이 쏟아지는 상황이다. 마음을 이완하는 훈련, 그리고 종교적 반추 등을 통해 스스로 정신 건강을 챙기는 노력이 필요한 시기다. 정 레지나기고 미국 절망적 사망자 악몽 외로움 알코올 중독

2023-05-15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